국내 컴퓨터그래픽(CG) 기술력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CG는 영화(애니메이션 포함)·TV·게임 등 영상산업에서 SF 장르를 구현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주요 요소다. 일반인이 CG를 포함한 특수효과가 사용된 영화나 드라마를 SF와 동일시하는 경향은 물론 CG기술이 SF의 이야기 전개를 뒷받침하는 핵심 기술력이라고 할 때 매우 중요하다. 과거에는 주로 외국 제작사의 주문자제작(OEM) 형태를 띠던 CG가 많이 사용되는 애니메이션이나 실사 영화가 최근에는 공동투자 및 자체 창작으로 바뀌고 있다. 이미 해외에서 투자를 유치하거나 해외 방송에 방영되는 등 성공 사례가 늘고 있다. 관련 업계에서는 미국·일본이 주도해온 CG 시장에서 우리나라 기술력으로 승부해 볼 만하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특히 이런 결과는 궁극적으로 해외 시장에서 국내 디지털콘텐츠 시장의 성공 가능성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 |
| |
◇해외 기업, 공동제작에 이어 투자까지=최근 몇 년 사이 CG 기술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눈에 띄는 변화는 해외 영화·애니메이션 대형 제작사나 자본이 국내 기업에 공동 제작을 요청하거나 투자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 애니메이션 산업 육성을 위해 지원하는 스타프로젝트가 대표적인 사례다. 2003년 이후 매년 한두 편 이상의 애니메이션이 해외로부터 투자를 유치하거나 해외 시장에 입성(방송)하고 있다.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털 검색에 내 청첩장이 뜬다면... (0) | 2007.10.30 |
---|---|
차세대 전자정부 추진과제 (0) | 2007.10.30 |
선진 한국의 필요조건 (0) | 2007.10.25 |
전파 & 주파수 (0) | 2007.10.25 |
노키아 미래 전략 'No 휴대폰' (0) | 2007.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