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차세대 이동통신
와이브로(휴대인터넷)가 통신기술 종주국이자 세계 최대 통신시장인 미국에
상륙한다.
삼성전자와 스프린트넥스텔 인텔 모토로라는 9일 새벽(현지시간 8일 오후) 뉴욕에서 와이브로 서비스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 계약을 맺었다.
미국 3위 이동통신사인 스프린트는 2008년까지
40억달러를 투입해 미국 전역에서 가입자 1억명을 목표로 와이브로 상용 서비스에 나서기로 했다.
와이브로는 시속 100km 안팎으로 달리는 차에서도 인터넷에 접속해 대용량 데이터를 주고받고 인터넷전화까지
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이다.
한국 와이브로의 미국 진출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상용화에 이은 또 하나의 신화창조로 볼 수 있다는 게 업계의 평가다.
10년 전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던 CDMA 상용화에 성공,전 세계 통신업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한국이 와이브로라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로 세계 통신시장 판도를 뒤흔들 수 있다는
얘기다.
특히 통신기술에 관한 한 자존심이 세기로 유명한 미국의 스프린트 인텔 모토로라가 와이브로 서비스를 위해 삼성과 손을 잡은 것 자체가
신화창조의 시작이라는 것.통신업계 관계자는 "통신 종주국인 미국 시장을 새로운 기술로 뚫기란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스프린트가 와이브로를 차세대 이동통신 플랫폼으로 도입하겠다고 한 것은 한국 통신 기술의 승리라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의 와이브로 도입 결정은 '와이브로 세계화'를 앞당기는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다.
와이브로는 한국에서 지난 5월 처음 상용화됐고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베네수엘라 브라질 일본 등 7개국 9개 사업자가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미국이 와이브로를 도입키로 함에 따라 이들의 움직임은 더욱 빨라지게 됐다.
이렇게 되면 삼성전자가 주도하는 와이브로 시스템 및 단말기의 수출 기회도 많아지게
된다.
삼성전자는 와이브로 세계 시장 규모(시스템 및 단말기)가 2007년
1조6000억원에서 2008년 3조8000억원,2009년 6조6000억원 등 매년 고속 성장을 거듭해 2010년에는 11조6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 스프린트 인텔 모토로라 라인은 절묘한 동맹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삼성은 와이브로 기술보유자이고,스프린트는 차세대 통신 서비스에
필요한 2.5기가헤르츠(GHz) 대역의 미국 내 주파수를 85%나 확보하고 있다.
인텔은 칩셋 제작과 통신기술 세계 표준화를
주도하는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고,모토로라는 미국시장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단말기 제조회사다.
4사는 철저한 역할
분담을 통해 전체 시장 파이를 키우겠다는 글로벌적인 시각을 갖고 있다.
삼성은 3사와 제휴함으로써 세계적으로 기술 주도권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됐고 스프린트는 미국에서 맨 먼저 와이브로를 도입함으로써 이동통신 3위 탈피를
모색할 수 있게 됐다.
인텔은 삼성의 와이브로 기술을 받아들이는 대신 칩셋
공급이라는 현실적 이득을 챙기자는 속셈을 갖고 있다.
고기완 기자 dadad@hankyung.com
[사설] (10일자) 세계표준 선점한 삼성 와이브로
|
|
게재일:
2006-08-10 한국경제신문 |
|
우리나라가 처음 개발하고 상용화한 휴대인터넷 기술인
'와이브로(WiBro)'가 미국 시장에 진출한 것은 매우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삼성전자를 비롯 미국 이동통신사 스프린트 넥스텍,인텔,모토로라 등 4개사는 9일 와이브로 분야의 협력 및 상용 서비스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맺었다.
스프린트는 삼성이 독자개발한 통신장비와 칩셋,단말기 등
와이브로 시스템을 미국 기간통신망의 차세대(4G) 플랫폼으로 채택,2008년부터 미국 전
지역에서 상용서비스에 나설 계획이라고 한다.
우리의 와이브로가 통신의 본고장이자 세계 최대시장인 미국에 첫 진출하게 됐을 뿐만
아니라 지난 6월 말 세계 최초로 상용서비스에
들어간 와이브로 기술이 국제표준으로 자리를 잡을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한마디로 그동안 휴대전화 단말기 수출에 매달려온 한국의 이동통신산업이 IT(정보기술)분야에서 새로운 수종산업을 창출한
셈이다.
이번 와이브로의 미국 진출이 우리나라가 세계 휴대인터넷 기술을 선도하고
IT 시장을 개척하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임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와이브로는
국내 통신산업 사상 최초로 우리의 원천기술로 개발된 것인 만큼 서비스제공 등을 통해 기술사용료를
받을 수 있을 뿐더러 칩에서부터 단말기,시스템,콘텐츠까지 수출함으로써 엄청난 전후방 파급효과도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IT분야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으로의 역할을 톡톡히 해낼 것이라는 얘기다.
더욱이 미국에서 와이브로 서비스가 성공을 거둘 경우 이미 시험 서비스를 진행중인 영국 프랑스 일본 등에서도 앞다퉈 이를 채택할 가능성이 크다.
와이브로가 세계 표준으로 채택되고 4세대 기술개발 경쟁에서 한국이 주도적 역할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에 이어 전 세계로 와이브로 보급이 본격화할 경우 올해부터
2012년까지 생산 유발효과는 33조원을 웃돌고 고용효과 또한 27만명에 이를 것으로 업계는 분석하고 있다.
물론 와이브로가 세계적 표준으로 자리잡기 위해 우리가 해결해야 할 과제는 수없이 많다.
우선 휴대
이동 단말기의 가장 큰 약점인 배터리부족 문제 등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대체기술이나 서비스가 빠르게 출현하고 있는 만큼 미국 진출로 와이브로가
당장 세계적 표준이 될 것으로 생각해서는 안되며 와이브로 시장 확대에 온 힘을 쏟아야 한다.
美수출 와이브로 국내선 찬밥? … 가입자 단 336명뿐
|
|
게재일:
2006-08-11 한국경제신문(정보/과학) |
|
삼성전자 주도로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해 통신 종주국 미국에 제공키로 한 차세대 통신기술 와이브로(휴대인터넷). 지난 6월30일 KT와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지만 40일이 지난 지금까지
지지부진하다. 가입자가 KT는 325명,SK텔레콤은 달랑 11명에 지나지 않는다. '차세대 먹거리'라고 불리는 와이브로가 정작 본국에선 왜 이렇게 부진한 걸까.
서비스가 매력 없기 때문은 아니다. '무선 광역통신망(Wireless Broadband)'의 약자인
와이브로(WiBro)는 달리는 자동차나 지하철,거리,사무실,심지어 산꼭대기에서도 초고속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찾거나 주식거래,홈쇼핑,인터넷전화,영상회의,방송 시청 등을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런 막강한 기능이 기존 통신 서비스 수요를 잠식한다는 점이다. 와이브로가 있으면 무선인터넷을 이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와이브로의 무선 인터넷전화 기능까지 도입하면 휴대폰 시장이 심각한 위협을 받게 된다. 이런 '자기
잠식(카니발라이제이션)' 때문에 와이브로 활성화가 늦어지고 있다.
와이브로 사업자인 KT와 SK텔레콤은 수도권 일부 지역에서 제한적으로 서비스를 하고 있다. 단말기도 노트북PC로 국한했다. 와이브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카드 형태의 단말기를 노트북에 꽂아야 하는데 가격이 30만원 전후로 비싼
편이다. 서비스 내용에 비하면 월 1만6000원 내지 3만원인 요금도 만만치 않다.
양사는 제한적인 서비스에 대해 "아직 수요가 많지 않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KT는 "지역 제한이 커서 아직 수요가 많지 않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당장 와이브로를
대대적으로 확산시키면 전화나 휴대폰 통화량,무선인터넷 사용 등이 대폭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얘기한다.
전문가들은 와이브로가 한국에서 최초로 상용화됐지만 활성화 측면에서는
후발국들에 뒤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초고속 인터넷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보급돼 있고 동영상통화가 가능한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방식의
3세대 이동통신까지 도입된 상황이라 기존 서비스와 '충돌'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KT와 SK텔레콤은 소비자 반응을 살펴가며 점진적으로 와이브로 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대도시 핵심지역에서 와이브로 사용자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나서 서비스 지역을
점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1~2년 내에 국내에서 와이브로가 급속히 확산될 것으로
기대하긴 어렵다.
와이브로 기술 개발을 주도한 삼성전자가 일찌감치 해외로 눈을
돌린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삼성전자는 한국 외에 미국 일본 이탈리아 크로아티아 베네수엘라 브라질 등 6개국 7개 사업자와 손잡고 와이브로 상용화를 추진 중이다. 이들이 와이브로 서비스를 시작하면 삼성은 시스템과 단말기를
공급하게 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해외에서는 와이브로 도입에 적극 나서는
사업자가 부쩍 늘고 있다"고 말했다.
임원기 기자 wonkis@hankyung.com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