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미래 기술로만 알려졌던 60㎓ 밀리미터파 주파수의 조기 산업화 가능성이
제기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국내는 기초 연구가 이제 막 시작된 상황이어서 첨단기술 개발을 서두르지 않으면 기술 종속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현재 무선 사설망 국제표준화기구인 IEEE 802.15.3c는 미국의 주도 아래 내년 7월을 목표로 60㎓ 밀리미터파 표준화를 추진중이다. 국내에서는 이에 대응하기 위해 ‘기가비트급 무선개인통신(WPAN) 컨소시엄’을 구성하기로 했다. 이달 결성될 국내 컨소시엄은 고려대학교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주도하고 삼성전자·LG전자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60㎓ 밀리미터파 조기 산업화 가능성=표준화 단체를 비롯, 세계 각국의 움직임이 빨라진 것은 60㎓ 밀리미터파 대역의 조기 산업화 가능성이 점쳐지기 때문이다. 일본은 IEEE 802.15.3c 표준화에 맞춰 최근 주요 가전회사가 참여한 W-PAN 컨소시엄을 서둘러 구성했다. | |
| |
이 대역은 기존의 점대점(포인트 투 포인트) 무선
고정통신과 100m 이내 근거리 구내 무선통신시스템으로만 활용 가능성을 보였으나 기술 발전으로 최근 △자동차 간 통신 △댁내 기기 간
고선명(HD) 동영상 전송 △외장용 하드디스크 △노트북PC 전원공급용 통신에 쓰일 가능성이 열리면서 주목받고 있다. 정통부도 최근
57G∼64㎓(7㎓폭) 대역에서 저출력으로 무선국 허가를 받지 않고 사용하는 비면허 대역으로 ‘60㎓대 밀리미터파’ 주파수를 분배한 바 있다.
윤두영 KISDI 연구원은 “밀리미터파 대역은 기업규모나 업종에 관계 없이 어떤 서비스든 발굴해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 그야말로 아이디어
경쟁의 장이 될 수 있다”며 “초광대역통신(UWB)보다 시장성이 한발 더 가깝게 와 있다”고 평가했다. ○ 신문게재일자 : 2006/08/17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이월드 아메리칸드림 (0) | 2006.08.17 |
---|---|
와이브로 노트북 (0) | 2006.08.17 |
세계는 지금 소재산업 무기화 (0) | 2006.08.17 |
어느 해커의 쓴 웃음 (0) | 2006.08.17 |
지방교통망 이렇게 달라진다. (0) | 2006.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