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흐로 가상화의 시대다. 서버와 스토리지를 비롯한 기업용 시스템은 물론 소프트웨어까지 비용 절감과 운영 효율성 향상을 기치로 시장을 휩쓸고 있다. 그러나 정작 수요처인 기업 전산 담당자들은 구축 효과에 대해 의아해 한다. 과연 벤더들의 주장처럼 비용 절감과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할 지 검증할 벤치마킹 모델이 아직 부족한 탓이다. 이에 따라 최근 윈도서버 가상화 프로젝트를 수행한 한국투자증권을 찾아 그 효과를 들여다봤다. “노후된 윈도 서버 86대를 8대로 통합하면서 시스템 대수 및 상면 공간 90%를 줄였습니다. 또 연간 유지보수 비용은 1억7000만원에서 7000만원으로 60%를 절감했습니다.” 최근 윈도 서버 가상화 프로젝트를 총괄한 최원순 한국투자증권 IT서비스운영부장은 이 같이 가상화의 이점을 밝혔다. 한국투자증권(대표 유상호 www.truefriend.com)은 지난 3월 노후된 윈도 서버에 대한 가상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통상적인 신규 서버의 무상 유지보수 기간 3년이 지난 노후 서버들이 대상이 됐다. | |
| |
또 다양한 이 기종 서버들 간의 부품 교체가 어려운 점도 가상화 고려의 원인이 됐다.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과 현실세계 '우리가 남인가" (0) | 2007.09.28 |
---|---|
후지제록스 그룹 R&D 전략 (0) | 2007.09.28 |
공공기관 홈피가 위험하다 (0) | 2007.09.28 |
인터넷은 '툴바 경쟁' (0) | 2007.09.28 |
'아르마니폰' 11월 유럽서 대뷔 (0) | 2007.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