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사업자의 데이터방송이 잇따라 상용화에 들어간다. 대부분의 사업자는 교통정보서비스(TPEG)를 늦어도 내년 초에 모두 상용화할 예정이며 방송 프로그램 조회 서비스인 전자프로그램가이드(EPG)는 6개 사업자가 공동으로 LG텔레콤과 협력, 준비 중이다. DMB 단말기에서 웹 환경을 구현하는 방송웹서비스(BWS)는 KBS와 MBC가 이미 시작했다. KBS는 지난 10월 30일 TPEG 본서비스를 시작했다. 그러나 ‘단말기 선부담(이니셜차지)’ 방식 과금 형태를 놓고 방송위원회가 허용을 검토 중이다. BWS는 지난 3월 시작, 뉴스·날씨·생활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MBC는 TPEG를 올해 말이나 내년 초 상용화할 계획이다. MBC 관계자는 “TPEG에 △혼잡계통정보 △돌발상황정보 △관심지역정보 △안전운전정보 등이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MBC는 BWS를 작년 12월 DMB 개국과 함께 시작했으며 현재 증권·날씨정보 등을 제공하고 있다. 내년에는 제공정보를 추가·보강할 예정이다. | |
| |
SBS도 내년 초 TEPG 상용화가 목표다. SBS의 DMB 채널임대사업자인 한겨레신문·LG텔레콤 등이 BWS를 준비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SBS는 아직 정해진 바가 없다고 밝혔다. YTN은 TPEG의 연내 상용화를 목표로 서비스 개발 중이며 시험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다음달 1일 BWS를 시작한다. ○ 신문게재일자 : 2006/11/28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AN (무선근거리개인통신)이 달라진다. (0) | 2006.11.28 |
---|---|
영화 디지털 백업 서비스 - CJ파워 캐스트 (0) | 2006.11.28 |
e마켓플레이스 3위 쟁탈전 (0) | 2006.11.28 |
내비게이터와 디지털카메라 핵심 (0) | 2006.11.28 |
친환경 프라스틱 종이쓰는 프린터 (0) | 2006.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