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 출범한 제품수명주기관리(PLM)컨소시엄 팽정국 회장(현대기아자동차 부사장)은 출범식에서 “효과적인 PLM 구축이 글로벌 경쟁에서 살아남는 유일한 수단”이라며 “컨소시엄 참여 업체 간 베스트 프랙티스 벤치마크를 통해 국내 PLM 수준을 한단계 업그레이드할 것”이라고 말했다. 컨소시엄에는 올 연말까지 1000여개의 제조업체가 참여할 예정이다. 제조업체들이 전사자원관리(ERP) 구축 후 핵심 인프라로 PLM을 선택했다. 한 때 만병통치약으로 여겨졌던 ERP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했기 때문이다. ERP가 경영의 효율화를 이끌었지만, 제조업의 핵심인 제품관리에는 해법을 제시하지 못했다. 제조업체들은 ERP가 해결하지 못한 생산라인의 문제를 풀어줄 솔루션이 필요했다. 기획 단계에서 개념 설계, 상세 설계, 생산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제품 수명 전 기간에 걸쳐 설계와 관리를 위한 솔루션이 절실했던 것이다. PLM은 이런 모티브에서 출발했다. | |
| |
삼성전자 등 대기업들은 ERP 구축 이후 곧바로 PLM을 부분적으로 도입했다. 초기에는 ERP와 연동되지 않아 PLM 확산에 어려움도 있었지만, 패키지 ERP가 대세를 이루면서 연동문제도 해결됐다. PLM은 제품관리의 혁신으로 나타났다. 제품의 생산기간이 크게 단축되고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도 빨라졌다.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음 폼카드' 회원수 50만 돌파 (0) | 2007.09.06 |
---|---|
u헬스케어 시대 '성큼' (0) | 2007.09.04 |
공개SW, 솔루션으로 진화 (0) | 2007.09.04 |
블로그 "이젠 콘텐츠 품질시대" (0) | 2007.09.04 |
케이블TV "인터넷전화 가입자간 통화 무료" (0) | 2007.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