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각 기업이 사용하는 무선랜의 인증체계가 허술한 것은 물론 유명 백화점에서 사용하는 무선 판매시점관리시스템(POS)에 보안 장치가 돼 있지 않아 고객 정보 유출의 우려까지 큰 상황이다. 특히 기업들은 무선랜에 어떤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는지 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대비책도 세우지 못하는 형국이다. 심종헌 유넷시스템 사장은 “무선랜을 통한 고객 및 기업 정보 유출 사고 등은 사고 여부를 알기 힘들어 기업들이 위험성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선랜이 위험하다=기업이나 백화점 등에서 많이 사용하는 무선랜은 유선과 달리 외부의 불법 액세스포인트(AP)에 노출될 우려가 크다. 내외부의 침입자가 임의로 기업 네트워크에 가짜 AP를 설치할 경우, 내부 네트워크를 그대로 해커에게 내주는 꼴이 된다. | ||
| ||
기업의 정상적인 무선 사용자는 회사의 정식 AP가 아닌 침입자의 AP에 접속해 자신의 사용자 ID·패스워드 등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단말은 강도가 강한 AP에 자동으로 우선 접속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접속된 AP가 정상적인 것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해커는 정상 사용자의 인증정보를 이용해 기업 내부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악성코드 감시기능 '탁월' - 네이버pc그린 (0) | 2007.10.08 |
---|---|
글로벌 통합 (0) | 2007.10.08 |
웹검색 서비스 구글 넘겠다 (0) | 2007.10.08 |
지도서비스 '플레이스트리트' 개발 노정훈 · 이삼열씨 (0) | 2007.10.08 |
가상화 기술 (0) | 2007.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