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낭보로 전해진 와이브로의 3G 이동통신(IMT2000) 표준 채택은 정부와 업계가 함께 개발한 신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첫 사례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와이브로는 이번 쾌거로 ‘서비스 대중화’와 4G 이동통신 표준 선점에도 유리한 입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와이브로의 시장 안착은 물론이고 차기를 예약하는 새로운 차원의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4G선점 경쟁에 ‘유리’= 제네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총회에서 여섯 번째 IMT2000 표준으로 받아들여진 와이브로는 일단 기술의 우수성과 안정성은 공인된 셈이다. 기존 3G 서비스와의 시장경쟁에도 일단 안정적인 입지가 예상된다. 일단 3G 비동기식(WCDMA)과의 경쟁은 뒤졌다 치더라도 오는 2009년 상용화될 차기버전(802.16m)은 동기식(LTE+)보다 상용화시점이 일러 해볼 만하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와이브로에 채택된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A) 및 다중입출력(MIMO) 등은 4G 핵심 기술이어서 4G 표준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다. | |
| |
삼성전자 관계자는 “3G 네트워크와 유연하게 연동하면서 4G의 핵심기술을 채택했다는 강점을 제대로 살려낸다면 4G 표준에도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 · 가상화 솔루션이 뜬다 (0) | 2007.10.23 |
---|---|
SK텔레콤, 이달말부터 TV포털 서비스 (0) | 2007.10.23 |
IPTV 셋톱박스 시장 달궈진다 (0) | 2007.10.18 |
노트북 안 켜고 메일 본다 (0) | 2007.10.18 |
KSTAR (0) | 2007.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