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통신 트랜드

와이브로 3G 이동통신 표준 채택

지난주 낭보로 전해진 와이브로의 3G 이동통신(IMT2000) 표준 채택은 정부와 업계가 함께 개발한 신기술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첫 사례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은다. 와이브로는 이번 쾌거로 ‘서비스 대중화’와 4G 이동통신 표준 선점에도 유리한 입지를 점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업계 안팎에서는 와이브로의 시장 안착은 물론이고 차기를 예약하는 새로운 차원의 민관 협력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쏟아지고 있다.

 ◇4G선점 경쟁에 ‘유리’= 제네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총회에서 여섯 번째 IMT2000 표준으로 받아들여진 와이브로는 일단 기술의 우수성과 안정성은 공인된 셈이다. 기존 3G 서비스와의 시장경쟁에도 일단 안정적인 입지가 예상된다. 일단 3G 비동기식(WCDMA)과의 경쟁은 뒤졌다 치더라도 오는 2009년 상용화될 차기버전(802.16m)은 동기식(LTE+)보다 상용화시점이 일러 해볼 만하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와이브로에 채택된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A) 및 다중입출력(MIMO) 등은 4G 핵심 기술이어서 4G 표준경쟁에서도 유리한 위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3G 네트워크와 유연하게 연동하면서 4G의 핵심기술을 채택했다는 강점을 제대로 살려낸다면 4G 표준에도 오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보이고 있다.

박윤현 정통부 전파방송정책팀장은 “이번 와이브로의 세계 표준 채택은 4G 표준화를 한국이 주도하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라며 “2010년께 ITU 총회에서 확정할 4G 기술 표준 선점에도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와이브로 업계 ‘상승세’=삼성전자는 연말로 예정된 일본 총무성 광대역 서비스 사업자 선정에 참여해 표준채택의 위력을 실전에 투입해볼 계획이다. 일본은 지금까지는 KDDI를 중심에 두고 지원해왔으나 유력 NTT도코모-ACCA 컨소시엄과도 협력할 예정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전송속도를 두 배 이상 높인 ‘웨이브 2’ 장비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고, 이를 스프린트를 시작으로 확대 공급할 예정이다. 와이브로 모뎀을 공급하는 명민시스템·모다정보통신, 와이브로 PMP를 만든 소디프 E&T, 와이브로 UMPC를 만든 라온디지털 등 중소기업도 일본과 동남아를 중심으로 삼성전자·포스데이타 등과 동반 수출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

와이브로 토털 솔루션 수출에 나서고 있는 포스데이타의 신준일 상무는 “기술 종주국으로서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서비스를 정착시켜야 세계 시장으로 확산이 가능할 것”이라며 “재도약 계기로 삼기 위해 정부와 협력 수위를 높여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협력틀 발굴 시급=와이브로는 정부와 기업이 전략적으로 공동 기술개발에 나서 상용화에 성공한 대표 민관 합작 기술이다. 지난 2002년부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등 기관과 단체, KT·삼성전자를 포함한 와이브로 관련 업체들이 기술 개발에 함께 참여해 기획단계부터 표준화, 주파수분배를 연계해 추진해왔다.

예컨대 정부는 이번 표준 채택의 밑거름이 된 지난 8월 ITU특별회의(WP8F Special Meeting)를 서울에 유치하고 전 세계 전문가들이 기술의 우수성을 직접 체험하도록 프로그램을 짜는 등 관련국 설득 노력에 집중했다. 산업계에서는 와이브로의 사업성을 검증하는 데 힘썼다. 실제 IEEE 모바일 와이맥스 표준(802.16e)에 활용된 기술 기고문에는 삼성전자의 것이 25%에 달한다. 이 과정에서 당시 이기태 삼성전자 정보통신총괄사장(현 기술총괄부회장)은 스프린트·인텔·모토로라 등 국제 무대에서 원군이 될 IT 대표기업을 직접 설득하고 나섰다. 기술개발에서 상용화까지 정부와 기업이 일사불란하게 협력하면서 개발기간 단축, 비용 절감 효과를 누릴 수 있었고 신속한 사업성 판단도 가능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업계는 현재 7만 가입자에 불과한 국내 와이브로 시장 보급 활성화는 물론이고 세계시장 대중화와 4G표준 선점 등을 겨냥한 새로운 차원의 민관 협력시스템을 발굴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황지혜기자@전자신문, gotit@etnews.co.kr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서 · 가상화 솔루션이 뜬다  (0) 2007.10.23
SK텔레콤, 이달말부터 TV포털 서비스  (0) 2007.10.23
IPTV 셋톱박스 시장 달궈진다  (0) 2007.10.18
노트북 안 켜고 메일 본다  (0) 2007.10.18
KSTAR  (0) 2007.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