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주소는 물·석유·주파수처럼 유한한 자원이다. 약 43억개의 인터넷주소 생성이 가능한 기존 32비트 기반 IPv4 인터넷주소 체계가 2010년께 고갈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128비트 기반의 IPv6로 전환하는 연구가 한창이다. IPv6는 이론상 거의 무한대의 인터넷주소(43억x43억x43억x43억개)를 제공한다.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연결되는 u인프라 세상에서 필수요소인 셈이다.
우리나라는 2001년 정보통신부가 기본 전략을 수립한 후 2004년 4월 ‘차세대인터넷프로토콜(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지난해 12월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를 재수립했다. 지난 5월 과학기술 장관회의에 ‘IPv6 이용 활성화 대책’을 상정해 정부부처의 IPv6 도입을 의결하며 발빠르게 대응했다.
한국정보사회진흥원(NIA)은 2004년부터 시범서비스(KOREAv6 시범사업)를 진행 중이다. 11월 기준 IPv6를 이용하는 기관은 173개 IPv6 이용자는 19만6000명에 이른다. IPv6 국산 장비 및 솔루션 97종을 상용화했다.
2004년 당시 기능 검증 위주로 진행됐던 시범사업은 2005년 IT839 전략과 연계돼 실질적 효과를 보이기 시작했다. 3개 과제에 18개 업체가 참여한 지난해 사업에는 국내 IPv6 장비 및 솔루션의 성능 검증으로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제공했다.
올해는 사용자제작콘텐츠(UCC), 3세대 이동통신(WCDMA), 인터넷전화(VoIP), u센서네트워크(USN) 기술과 접목해 다양한 IPv6 기반 서비스를 제공했다. 경찰청·지방자치단체·통신사업자 및 장비업체 등 13개 기관이 참여 중이다.
SK네트웍스·삼성전자가 경찰청에 ‘치안서비스 고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LG데이콤은 대구시청에 ‘VoIPv6 분야 u행정기반 구축’을 진행 중이다. KT·A&D엔지니어링은 강릉시청과 함께 ‘u블루시티 구현’을 시도한다. 이 외에 KT가 공주지역에서 진행하는 ‘도농 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시범서비스’와 프리챌과 아이비트가 진행하는 ‘IPv6 UCC 포털서비스’ 등은 IPv6 기반 보편적 서비스를 앞당길 전망이다.
정통부와 NIA는 올해까지 IPv6 도입을 위한 기반 조성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정부·지자체 등 공공부문에 본격 적용을 시작해 2010년까지 공공부문 2013년에는 국내 모든 상용망을 IPv6로 전환 완료할 계획이다.
우리나라는 2001년 정보통신부가 기본 전략을 수립한 후 2004년 4월 ‘차세대인터넷프로토콜(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지난해 12월 ‘IPv6 보급 촉진 기본계획Ⅱ’를 재수립했다. 지난 5월 과학기술 장관회의에 ‘IPv6 이용 활성화 대책’을 상정해 정부부처의 IPv6 도입을 의결하며 발빠르게 대응했다.
한국정보사회진흥원(NIA)은 2004년부터 시범서비스(KOREAv6 시범사업)를 진행 중이다. 11월 기준 IPv6를 이용하는 기관은 173개 IPv6 이용자는 19만6000명에 이른다. IPv6 국산 장비 및 솔루션 97종을 상용화했다.
2004년 당시 기능 검증 위주로 진행됐던 시범사업은 2005년 IT839 전략과 연계돼 실질적 효과를 보이기 시작했다. 3개 과제에 18개 업체가 참여한 지난해 사업에는 국내 IPv6 장비 및 솔루션의 성능 검증으로 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제공했다.
올해는 사용자제작콘텐츠(UCC), 3세대 이동통신(WCDMA), 인터넷전화(VoIP), u센서네트워크(USN) 기술과 접목해 다양한 IPv6 기반 서비스를 제공했다. 경찰청·지방자치단체·통신사업자 및 장비업체 등 13개 기관이 참여 중이다.
SK네트웍스·삼성전자가 경찰청에 ‘치안서비스 고도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LG데이콤은 대구시청에 ‘VoIPv6 분야 u행정기반 구축’을 진행 중이다. KT·A&D엔지니어링은 강릉시청과 함께 ‘u블루시티 구현’을 시도한다. 이 외에 KT가 공주지역에서 진행하는 ‘도농 복합 중소도시 맞춤형 u-City 시범서비스’와 프리챌과 아이비트가 진행하는 ‘IPv6 UCC 포털서비스’ 등은 IPv6 기반 보편적 서비스를 앞당길 전망이다.
정통부와 NIA는 올해까지 IPv6 도입을 위한 기반 조성을 마무리하고 내년부터 정부·지자체 등 공공부문에 본격 적용을 시작해 2010년까지 공공부문 2013년에는 국내 모든 상용망을 IPv6로 전환 완료할 계획이다.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도체 구원투수 `낸드플래시` (0) | 2007.12.04 |
---|---|
캠코더, 디카 - 산요코리아 캠코더 '작티 VPC-HD1000' (0) | 2007.12.04 |
광대역통합망(BcN) (0) | 2007.12.04 |
BcN 컨소시엄별 시범사업 현황 (0) | 2007.12.04 |
u코리아 로드맵 (0) | 2007.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