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캠코더 시장이 DVD·HDD 등
새로운 기록 매체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들 신형 캠코더는 최근 DVD 플레이어 및 PC 영상 편집 증가로 큰 인기를
모으고 있어 이미 성숙기에 접어든 국내 캠코더 시장에서 신규 수요를 창출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HDD·DVD 캠코더 수직 상승’=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내 캠코더 시장에서 HDD 캠코더와 DVD 캠코더의 성장세가 단연 돋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조사 업체인 GfK코리아에 따르면 HDD 캠코더는 작년 5월 기준 판매 비중이 3%에 머물렀으나 불과 1년 만(2006년 5월 기준)에 20%까지 급상승했으며 DVD 캠코더도 역시 같은 기간 14%에서 22%로 크게 늘어났다. 국내기업 중 유일하게 캠코더를 만들고 있는 삼성전자도 지난 6월 DVD 캠코더를 내놔 DVD 캠코더 비중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반면에 테이프를 사용하는 DV 캠코더는 작년 5월 74%에서 올해 44%로 뚝 떨어졌다. | |
| |
이는 DVD 캠코더가 영상을 찍은 후 바로 플레이어로 감상할 수 있는 점, HDD 캠코더는 테이프처럼
10시간 이상 오랜 시간 촬영이 가능한데다 PC로 데이터를 이동해 바로 편집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
신문게재일자 : 2006/08/08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공유기 대중화 시대 (0) | 2006.08.08 |
---|---|
기업용 S/W도 다운로드 시대 (0) | 2006.08.08 |
GDSN - 한국,,호주,홍콩,대만 상품정보 연결 (0) | 2006.08.07 |
밀리미터파 - 싸이언스21 (0) | 2006.08.07 |
중국 싸이월드 200만 회원돌파 (0) | 2006.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