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대 글로벌 대학에 한국은 없다

가장 세계화한 대학은 미국 하버드대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미국 시사주간 ‘뉴스위크’는 13일 외국 대학의 학생 교류를 비롯한 학문적 개방성 등을 평가한 ‘세계 100대 글로벌 대학 명단’을 발표했다. 1위는 하버드대가 차지했고, 스탠퍼드대와 예일대, 캘리포니아공대, UC버클리, 케임브리지대, MIT(매사추세츠공대), 옥스퍼드대, UC샌프란시스코, 컬럼비아대 등 미국과 영국 대학이 뒤를 이었다.한국 대학은 100대 글로벌 대학에 단 한 곳도 끼지 못해 여전히 세계수준과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에서는 도쿄대가 16위로 아시아 최고의 글로벌대학으로 꼽혔으며, 교토대(29위), 오사카대(57위), 도호쿠대(68위), 나고야대(94위) 등이 100위 안에 들었다. 싱가포르에서는 싱가포르국립대(36위)와 난양기술대(71위)가, 홍콩에서는 홍콩 과학기술대(60위)와 홍콩대(69위), 홍콩중문대(96위)가 포함됐다.
뉴스위크는 ▲논문 인용 연구자 수, 과학전문지인 ‘네이처’와 ‘사이언스’ 게재 논문 수, 사회과학 논문인용지수인 SSCI와 예술·인문과학 논문인용지수인 A&HCI 등 50% ▲외국인 교수 수, 외국인 학생 수, 교수당 논문 인용 수, 학생대 교수 비율 등 40% ▲도서관 보관도서 규모 10%를 반영해 조사했다고 밝혔다.
뉴스위크는 아울러 명문대학의 상징인 미 북동부 8개 사립대학(하버드대, 예일대, 컬럼비아대, 프린스턴대, 펜실베이니아대, 코넬대, 다트머스대, 브라운대)을 가리키는 ‘아이비 리그’가 최근엔 학생들 간 경쟁이 강화되면서 25개 명문대학을 가리키는 ‘뉴 아이비즈’로 바뀌었다면서 그 명단을 공개했다. 뉴스위크는 ‘뉴 아이비즈’에 속한 대학으로 에모리대, 미시간대, 뉴욕대, 노스캐롤라이나대, 리드대, 라이스대, 로체스터대, UC로스앤젤레스, 버지니아대, 워싱턴대 등을 꼽았다.
이런 가운데 아이비 리그를 비롯한 미국 명문대들이 사회 명사나 영향력 있는 동문 졸업생, 거액 기부자의 자녀들을 특혜 입학시키고 있다고 시사주간 타임이 보도했다. 2004년 명문 대학들의 특혜입학 사례를 파헤쳐 퓰리처상을 수상한 월스트리트 저널의 대니얼 골든 기자는 “대표적인 명문대 학생들 가운데 특혜가 없다면 입학하지 못했을 학생이 전체의 약 3분의 1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부모가 거액 기부를 약속하거나 사회 명사 또는 영향력 있는 동문일 경우 1600점 만점인 대학수학능력평가시험(SAT)에서 300점만 받아도 명문대에 갈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워싱턴=한용걸 특파원icykarl@segye.comⓒ 세계일보&세계닷컴
(세계일보 사설)
미국 주간지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 100대 대학’ 안에 한국 대학은 한 곳도 들어가지 못했다. 1∼3위는 하버드,
스탠퍼드, 예일 등 미국 대학이 차지했고 톱 10도 케임브리지, 옥스퍼드를 포함한 영미 대학 몫이었다.아시아권에선 일본이 도쿄대 등 5곳,
싱가포르와 홍콩이 각각 2곳씩 포함됐으나 한국은 없다. 지난해 영국 더 타임스가 전세계 2300명의 교수를 상대로 한 설문조사 후 발표한 ‘세계
200대 대학’ 순위에서 서울대가 전년의 118위에서 93위에 올랐다고 떠들썩했을 정도로 우리 대학의 ‘세계 상위 수준’ 진입은 아득하기만
하다.교수들 학위 수준이나 유학생 규모, 이공계의 해외 논문 발표 수 등 한국 대학의 수준이 세계적인 부문도 많은데 왜 이런 결과가 나오는가.
교육 전문가들과 대학인들은 대학을 학문 연구보다 취업 준비 교육의 장으로 만들고 고급 교육보다는 값싼 대중교육 수준에 머물게 하는 현행
교육정책의 실패를 첫손가락으로 꼽는다. 수월성 교육을 부정하고 대학의 자율성을 해친 결과가 대학의 하향 평준화를 초래했다는
얘기다.
평준화가 평등교육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 돼버린 지금 평균주의를 추구하는 교육당국이 입시는 물론이고 신입생 선발 방식까지 일일이 간섭하며 대학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게 현실이다. 오죽하면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이 “헌법에 명문화된 대학의 자율성은 허울조차 남아 있지 않다”고까지 개탄했겠는가.
지금이라도 정부는 통제 위주의 교육정책을 재점검하고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국내 대학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림으로써 국가경쟁력 제고의 동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평준화가 평등교육 수단이 아니라 목적이 돼버린 지금 평균주의를 추구하는 교육당국이 입시는 물론이고 신입생 선발 방식까지 일일이 간섭하며 대학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게 현실이다. 오죽하면 정운찬 전 서울대총장이 “헌법에 명문화된 대학의 자율성은 허울조차 남아 있지 않다”고까지 개탄했겠는가.
지금이라도 정부는 통제 위주의 교육정책을 재점검하고 대학의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해 국내 대학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림으로써 국가경쟁력 제고의 동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정복합도시 - U시티 (0) | 2006.08.16 |
---|---|
기업 이사회엔 IT 전문가가 없다. (0) | 2006.08.16 |
블록버스터 텔레비젼 - 전자신문 월요논단 -최지성(삼선전자 DM 총괄사장) (0) | 2006.08.14 |
ILM이란? - 정보생명주기 관리 (0) | 2006.08.14 |
음악파일 무단도용 꼼짝마 - 아이덴티티 시스템즈 (0) | 2006.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