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세이코엡슨이 LCD와 PDP에 못지 않을 정도로 수명이 긴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개발하고 내년 세계 시장에 진출한다. 15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세이코엡슨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5만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OLED를 개발했으며 올 연말부터 주문받을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OLED는 LCD와 달리 소자가 스스로 빛을 내는 특성상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전력 소모도 적다. 또 LCD보다 응답 속도가 1000배나 높아 잔상 없이 깨끗한 동영상을 보여준다. 하지만 수명이 짧고 원가가 비싼 게 단점이었다. 세이코엡슨은 이런 OLED의 한계로 꼽힌 수명을 대폭 개선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 현재 OLED 수명은 대부분 3만에서 3만5000시간 사이. LCD와 PDP 수명(6만시간)의 절반 수준에 불과해 TV와 모니터 등으로 만드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아왔지만 세이코엡슨은 OLED 수명을 150%나 향상시켜 LCD·PDP에 못지 않은, 다양한 상품화의 길을 찾아냈다. | |
| |
어떤 재료와 기술들이 적용됐는지, 단가 인하도 함께 이뤄졌는지 구체적인 내용들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세이코엡슨의 이번 기술 개발은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OLED의 가능성을 한 단계 끌어 올린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차원 내시경 국산화 성공 (0) | 2007.10.18 |
---|---|
'물=에너지' 상용화 눈앞 (0) | 2007.10.18 |
월마트, RFID 도입 효과 '톡톡' (0) | 2007.10.18 |
CNN 뉴스가 귀에 쏙 들어온다 - 청취닷컴 (0) | 2007.10.18 |
간편한 웹서핑 도우미 무료 배포 - 알툴바 1.02 (0) | 2007.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