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통부는 주민번호 검색 프로그램을 개발해 세계 최대의 검색 엔진 구글 DB(데이터베이스)를 대상으로 적용해 본 결과, 7월 24일부터
일주일간 6337개 웹사이트에서 90만3665명의 개인주민번호가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1 일 밝혔다. 인터넷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개인정보
노출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지만 정부의 공식 조사를 통해 구체적인 규모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정통부에 따르면, 이 가운데 주민번호 13자리 전부가 노출된 것은 993개 사이트에서 총 9만5219명인 것으로 확인됐다. 13자리 전체
주민번호가 노출된 사이트는 공공기관 334개, 민간기관 659개로 조사됐다.
한국 정보보호진흥원 관계자는 “국내 포털 사이트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차단장치를 두고 있지만 구글이나 MSN 같은 다국적 기업 사이트들은
이 같은 기능을 설치하지 않아 사실상 무방비 상태”라고 밝혔다.
주민번호 앞자리(생년월일)가 노출된 경우는 5344개 사이트에서 무려 80만8446명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돼, 국내 공공기관과 기업들의
개인정보 보호 실태가 심각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통부 관계자는 “공공 기관의 경우, 민원 게시판이나 학교 성적 관리 홈페이지에 저장된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면서 “다행히 최근에는 발생 숫자가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정통부는 1900년 1월 1일생(生)부터 1999년 12월 31일까지의 주민번호를 검색했다. 정통부는 노출된 주민번호 웹 페이지를 운영하는
해당 기관과 구글에 삭제를 요청하고 향후에도 노출여부를 지속적으로 점검할 방침이다.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 안의 프로젝터 시대 열린다. (0) | 2006.08.03 |
---|---|
킬러콘텐츠를 키우자 - 온라인게임, e러닝,모바일콘텐츠 (0) | 2006.08.03 |
LCD패널 헤게모니 모니터에서 TV로 (0) | 2006.08.02 |
DVD타이틀 구매조사 - e리서치 (0) | 2006.08.02 |
기계산업이 바라본 한.미 FTA (0) | 2006.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