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장인 중국이 제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급격히 상실하면서 투자자들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베트남 등이 투자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경제의 놀라운 성장세를 뒷받침해 온 외국인직접투자(FDI)가 최근 감소세로 돌아섰다고 보도했다. 이어 이같은 현상은 올 만한 기업은 이미 모두 온데다 △임금과 땅값 상승 △과잉투자 억제를 위한 중국정부의 까다로운 규제 등으로 인한 ‘제조업 허브’로서의 중국에 대한 매력이 감소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중국경제는 지난 90년대 이후 구름처럼 몰려든 외국자본 덕분에 세계의 공장으로 화려하게 탈바꿈할 수 있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한 외국인들의 직접투자액은 지난해부터 일부 줄어들기 시작했고 올들어 감소폭이 점점 커지는 상황이다. 지난 6월의 경우만 하더라도 중국에 대한 FDI는 전년동기에 비해 12%나 줄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FDI 규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5% 줄었다. | |
| |
중국 GDP에 대비한 외국인 투자규모도 지난 94년 6%를 기록한 이후 계속 감소해 올해는 2.5% 내외에
그칠 전망이다. ○
신문게재일자 : 2006/08/08
|
'정보통신 트랜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최초 전자문서보관소 - 스토리지 의 발전 (0) | 2006.08.09 |
---|---|
북한엔터테인먼트의 의미 - 사설 (0) | 2006.08.08 |
건전게임은 가정교육에서 (0) | 2006.08.08 |
입시명문 대성학원 e러닝 태풍의눈 (0) | 2006.08.08 |
인터넷 공유기 대중화 시대 (0) | 2006.08.08 |